로그인 | 简体 | 正體 | English | Vietnamese

성스런 연꽃(聖蓮)이 피다

성스런 연꽃(聖蓮)이 피다

작자: 탄진(撣塵)

[정견망] 2012년 7월 13일 아침 6시경, 중국 사천성 연화진(蓮花鎮) 연화하(蓮花河)에 놀랍게도 송이송이 연꽃이 나타났다. “연꽃”은 강바닥에서 나왔는데 처음에는 자그마한 기포가 강바닥에서 서서히 위로 솟아오르더니 점차 확산 되었다. 처음에는 원형(圓形)이더니 몇 분 후 연꽃 모양이 서서히 형성되었다. 꽃의 지름은 약 20cm이고 꽃잎이 연꽃처럼 생겼는데 다만 줄기가 없어서 받쳐주지 못했고 잎이 없어 두드러지지 못할 뿐이었다.

현지 민중의 말에 따르면 “기포에 색깔이 있는데 기포의 색깔이 연꽃이 색깔을 결정했다. 붉은 색, 녹색, 흰 색 등등 어떤 색깔이나 다 있었다.” 연꽃은 강물 속에서 아주 규칙적으로 피어 올라왔는데 약 3분에 한 송이가 솟아 나왔다. 꽃의 간격은 3m 정도 되었고 약 30m 가량 떠가서는 점차 연꽃 상태로 나타나다가 100m쯤 떠가다가 또 천천히 물속으로 들어갔다. 이렇게 약 2시간 가량 지속됐다. 7월 19일 오후 5시경 연화하에는 또 다시 신기한 연꽃이 나타났다.

올해 여든넷인 주민 노초운(盧楚雲)은 “지금까지 오래 살았지만 이런 광경은 처음 보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전에 어른들로부터 아주 먼 옛날 이 강에서 연꽃이 피는 광경이 나타난 적이 있었다는 말을 듣기는 했지만 본 적은 없다고 했다. 바로 이 전설 때문에 이 강을 “연화하(蓮花河)”로 불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더 오랜 전설에 따르면 명(明)나라 말 한 도인이 어느 늦은 저녁 강바닥에서 연꽃 한 송이가 활짝 피어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한다. 나중에 도인이 절을 짓고 이름을 연화사(蓮花寺)라 불렀다. 전설에 따르면 연화사에는 “정식 승려가 5만 5천이 있었고 어린 승려는 부지기수였다.”고 한다. 매일 밤이면 향불이 타오르고 등불이 휘황찬란해 마치 한 떨기 활짝 핀 연꽃이 사방을 비추는 것 같았다.

비록 이런 전설이 있고 또 관련 보도까지 나왔지만 직접 보지 못한 사람은 믿기 어렵다. 하지만 다행히 지금은 촬영도구가 많이 보급되어 있고 세심한 사람이 이미 녹화한 영상을 인터넷에 올려놓았다. 이런 기이한 정경에 직면한 사람들은 자연히 깊은 생각에 잠기게 될 것이다.

연꽃은 불가에서 신성한 물건으로 간주하여 부처, 보살은 모두 연화보좌(蓮花寶座)에 앉는다. 민간에서도 사람들은 늘 “진흙에서 나왔음에도 오염되지 않는다(出淤泥而不染)”는 것으로 연꽃의 고결함을 표현한다. 오늘 연화진 연화하에 유구한 전설 에 등장하는 연꽃이 피어나자 사람들은 자연히 끝없는 상상의 나래를 펴게 되었다.

사실, 파룬궁 수련자들 중에는 다른 또 다른 형식의 “연꽃 개화”가 널리 전해지고 있는데 연화하에 핀 연꽃보다 더욱 신기하다.

주지하다시피 파룬궁의 가장 핵심적인 책이 바로 “전법륜(轉法輪)”이다. 대륙에서 출판된 “전법륜” 책의 뒤표지에는 신기한 연꽃이 한 송씩 있다. 중공이 파룬궁을 박해하기 전, 당시 파룬궁 수련자들은 거의 모두 “전법륜”을 한 권씩 지니고 있었다. 그 때 연꽃은 아직 피기 전의 꽃봉오리 상태였고 정수리만 약간 벌어져 있을 뿐이었다. 볼 수 있는 것이라면 벌어진 정수리에서 나타난 4, 5개의 꽃잎이었고 색깔은 푸른색이었다.

그런데 중공이 파룬궁을 박해할 무렵, 어느 파룬궁 수련생이 관찰해보니 꽃봉오리가 이미 피어 있었다. 하지만 변화가 크지 않았고 파룬궁 수련생은 게다가 모두 수구(修口)를 중시하다 보니 그저 작은 범위에서만 전해졌을 뿐 그다지 널리 소문나지 않았다. 하지만 2000년 말이 되자 절대다수 파룬궁 수련생들이 모두 발견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표지 연꽃의 변화가 너무 커서 거의 활짝 필 정도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원래 푸른색은 이미 산뜻한 붉은색으로 대체되었고 꽃이 활짝 피어나 꽃잎은 14개 정도였으며, 황금빛 꽃술이 꽃잎 사이로 드러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어느 “전법륜” 책이든 새것이든 낡은 것이든 피어난 정도는 모두 같았고 매우 선명했다. 파룬궁을 수련하지 않은 그런 세인들을 비롯해 “전법륜” 뒤표지에 대한 기억이 있는 사람들은 모두 이 기이한 현상을 목격했다.

밍후이왕 2011년 11월 28일 파룬궁 수련생이 쓴 “천안문에서 구치소로”라는 문장에 다음과 같은 묘사가 있다. “구치소에서 “전법륜” 보서(寶書)의 뒤표지 꽃봉오리가 피었다는 말을 듣고 정성들여 씌웠던 소가죽 종이를 벗겼더니 기쁘게도 산뜻한 장밋빛 꽃잎이 활짝 웃고 있었다. 오늘 다시 보니 꽃잎 색깔이 진한 데로부터 옅게 변했고 금빛 연꽃 화판은 단정한 모습을 보여 주었다…….”

무릇 1999년 이전에 “전법륜” 이 책의 뒤표지를 보았던 사람은 머릿속에 모두 연꽃 봉오리 모습을 담아두고 있을 것이므로 지금 대조하기란 아주 쉬울 것이다. 이 역시 “전법륜” 창시인 리훙쯔 선생님이 제자들에게 남겨 준 불법(佛法)에 대한 신기한 증거이다. 바로 연화하에 연꽃이 핀 현상을 본 세인들이 굳게 믿어 의심치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파룬궁 수련생도 대법에 대한 확고한 믿음은 더구나 반석같이 견고한 것이다.

1999년 7월 20일 파룬궁 수련생에 대한 중공의 전국적인 사악한 박해는 이미 13년이 지났다. 하지만 이 재난의 날이 다가오기 전의 시간에 연속 이런 기이한 일이 나타난 것은 그저 우연한 일일까? 그 유구한 전설의 존재가 오늘의 파룬불법(法輪佛法)을 예시하고 인증하기 위해서가 아닐까?

불가(佛家)에서는 일체는 모두 인연이 있다고 하는데 세인들이 그 속의 인연을 통찰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라는 바이다.

발표시간: 2012년 8월 4일
정견문장: http://www.zhengjian.org/node/112249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2-12-31 09:46:00 대법진상에서 이동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