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简体 | 正體 | English | Vietnamese

허블 별들의 보육원 Sh2-284 공개

【정견뉴스】

방출 성운 Sh2-284의 허블 적외선 이미지는 가스와 먼지구름에 숨겨진 빛나는 어린 별들을 보여준다. 이미지 크레디트: NASA, ESA 및 M. Andersen(독일 유럽남방천문대); 처리: Gladys Kober(NASA/미국 가톨릭대학교)

허블 망원경으로 촬영한 별 사진에서 Sh2-284로 알려진 항성단의 일부분이다.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이 광활한 지역은 구름 사이로 빛나는 별들의 탄생지다. 갓 태어난 별들의 밝은 성단은 적외선에서 분홍색으로 빛나고, 가스와 먼지구름은 짙은 먼지 덩어리가 점점이 흩어진 뭉게구름을 닮았다.

허블 망원경이 적외선으로 촬영한 이 이미지는 Sh2-284 구름에 가려져 있을 수 있는 별들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가시광선과 달리 적외선은 가스와 먼지구름을 통과할 수 있어 그 안에서 형성되는 별을 엿볼 수 있다.

이 성운은 150만 년에서 1300만 년 사이의 별을 가진 젊은 중심 성단인 돌리제 25(허블 이미지에서는 보이지 않음)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이 성단은 성운의 가스와 먼지를 밀어내는 이온화 바람과 방사선을 뿜어내어 여기에 자세히 나와 있는 것처럼 복잡한 모양과 기둥을 형성한다. 이 이온화 방사선으로 인해 Sh2-284는 대부분 이온화된 수소로 구성된 방출 성운 HII 영역으로 분류된다. Sh2-284와 같은 방출 성운은 내부 또는 근처의 별이 다량의 강렬한 자외선으로 가스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빛을 방출한다.

또한 Sh2-284는 금속 함량이 낮은 지역으로, 즉 수소와 헬륨보다 무거운 원소가 부족하다. 이러한 조건은 헬륨과 수소가 물질을 지배하고 더 무거운 원소가 거대한 별에서 핵융합을 통해 막 형성되기 시작하던 초기 우주의 조건과 유사하다. 허블은 낮은 금속 농도가 별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것이 초기 우주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연구하기 위해 이 이미지를 촬영했다.

Sh2-284는 기린자리에 위치하는데 지구에서 약 1만 5천 광년 떨어진 우리 은하 바깥 나선팔에 위치하고 있다.

자료출처: https://science.nasa.gov/missions/hubble/hubble-unveils-a-glittering-view-of-sh2-284/

 

원문위치: https://www.zhengjian.org/node/295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