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简体 | 正體 | English | Vietnamese

목건련이 벌떼와 맺은 전세 인연

글/ 유효(劉曉)

【정견망】

석가모니 부처님의 제자 중에 목건련(目揵連)은 신통제일(神通第一)로 6가지 신통을 구비했다. 즉 천안통, 천이통, 타심통, 숙명통, 누진통(漏盡通), 신족통(神足通)이 그것이다. 그는 일찍이 한 발을 지구 위에 디디고 다른 한 발은 범천(梵天)을 밟고서 수미산을 뒤흔들어 천지를 진감(震撼)시켜 뭇 비구들로부터 무수한 찬사를 받은 적이 있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일찍이 여러 나라를 다니며 중생을 구도하고 수많은 중생을 깨우쳐 제도했다. 하지만 오직 한 나라의 사람들만이 석가모니 부처님의 제도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석가모니 부처님이 목건련을 그 나라에 파견했는데 놀랍게도 목건련이 가자 위아래로 모든 백성들이 다 불법(佛法)에 귀의했다.

제자들이 매우 의아하게 여겨 석가모니 부처님께 원인을 묻자 석가모니 부처님이 대답했다.

“이 나라 사람들은 전생에 모두 같은 벌떼 무리에 속했다. 당시 목건련이 나무꾼이었는데 나무를 베다가 나뭇가지를 치자 가지 위에 있던 벌집이 흔들렸다. 그러자 벌집 속에 있던 벌떼들이 놀라 앞을 다퉈 그를 쏘려 했다. 목건련이 그것들에게 말했다. ‘너희들은 본래 불성(佛性)을 지니고 있지만 악업(惡業)때문에 벌로 전생한 것이다. 지금 이렇게 작은 분노에 독침으로 사람을 쏘면서 계속 업을 지을 생각이냐? 내가 하루빨리 성과(聖果)에 올라 장차 반드시 너희들을 구도할 수 있길 바란다.’ 벌떼들이 이 말을 듣고는 뭔가 깨달은 듯했고 또 명심했다. 이것이 바로 그들이 금생에 목건련을 보자 모두들 그를 따라 불법수련에 들어오게 된 까닭이다.”

불교에서는 육도윤회(六道輪迴)를 말한다. 다시 말해 한 사람이 금생에는 사람이지만 전생에 동물이나 식물이었을지 모른다는 말이다. 이 모든 것은 다 사람의 업보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세상을 살면서 동물, 곤충, 식물을 함부로 해쳐서는 안 된다. 곤충이 단지 미생물이라고만 여기지 말아야 하고, 초목이 지각이 없다고 해서 함부로 해치지 말아야 한다. 그것들이 윤회 중에 어쩌면 사람으로 전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이런 이야기가 있다. 한번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중생을 위해 설법하는데 개구리 한 마리가 불법을 듣고는 몹시 기뻐하며 연못 속에서 뛰쳐나와 잡초 사이에 엎드려 지성으로 귀를 기울였다. 그런데 천만뜻밖에도 설법을 듣던 어떤 사람의 지팡이에 찔려 죽어버렸다.

개구리는 죽은 후 도리천(忉利天)에 전생해 도리천왕이 되었다. 나중에 다시 붓다가 설법하는 곳에 가서, 미묘한 의리(義理)를 듣고 깨달음을 얻어 수다원(須陀洹)과를 증득했다. 개구리는 비록 아주 작은 동물이지만, 후에 높은 과위를 증득할 수 있었다. 이는 정말이지 작은 동물이라고 해서 함부로 해쳐서는 안됨을 설명한다.

그러면 식물 역시 사람으로 전생할 수 있을까? 또 다른 이야기를 한번 보자. 용수보살의 의발을 이어받은 제자인 가나제바(迦那提婆)는 사부의 권고에 따라 사방을 주유하며 불법(佛法)을 선양했다. 그는 나이가 들자 의발을 이어받을 제자를 고르기 시작했고, 결국 비라국(毗羅國)의 라후라다(羅睺羅多)를 선택했다.

라후라다와 그의 아버지 범마정덕(梵摩淨德)에게 큰 정원이 있었는데, 정원의 나무 위에서 자라는 큰 버섯이 맛도 아주 좋고 신선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오직 두 사람만 먹을 수 있었고 다른 사람들은 따려고 해도 보이지 않았다. 매일 부자가 따면 금방 새 버섯이 돋아났다.

가나제바가 범마정덕의 집에 오자 당시 79세였던 범마정덕이 그에게 대체 무슨 이유 때문인지 가르침을 청했다. 가나제바가 이렇게 대답했다.

“당신들 부자가 일찍이 스님 한 분을 공양했는데 그 승려가 도를 이루지 못했기 때문에 공양 받은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버섯으로 전생해 당신들이 먹게 하는 것입니다.”

가나제바는 또 범마정덕이 81세가 되면 큰 나무에서 버섯이 나오지 않을 거라고 했다. 이는 마땅히 은혜를 다 갚았기 때문이다.

분명한 것은 동물이나 식물 모두 영성(靈性)이 있는 생물이니 모두 함부로 해쳐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현대인들은 멋대로 식물을 짓밟고 보다 많은 식욕을 추구하며 크고 작은 많은 동물들을 죽이고 있다. 이렇게 해서 지은 업은 모두 갚아야 한다.

참고자료: 송나라 《태상감응편집석(太上感應篇集釋)》)

 

원문위치: https://www.zhengjian.org/node/275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