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简体 | 正體 | English | Vietnamese

태양계에 없었던 중력에 도전하는 특이한 혜성 발견

이명(李明)

【정견망】

NASA의 스타더스트 우주선을 이용하여 와일드 2 혜성을 자세히 관측한 미국 천문학자들은 태양계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이 기이한 혜성에 경탄했다. 이 혜성의 모양은 중력 법칙을 거스른다.

이 혜성은 우뚝 솟은 돌출부와 가파른 벽으로 둘러싸인 구덩이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서 십여 개가 넘는 분출물이 분출되고, 혜성 주변의 비정상적으로 밀도가 높은 지역에 먼지 소용돌이가 집중되어 있다. 이 혜성의 특이한 특징 중 하나는 평평한 바닥과 거의 수직에 가까운 벽을 가진 두 개의 움푹 들어간 부분인데, 마치 거대한 발자국처럼 보인다. 이 혜성의 구조는 일반적인 충돌 분화구와는 다르다. 혜성의 새 지도(地圖)에서 각각 왼발과 오른발로 명명되었으며, 너비는 약 5km다.

그림 설명: 와일드 2의 합성 이미지. 장시간 노출로 촬영한 이미지 위에 와일드 2 표면의 상세 이미지를 겹쳐 가스 분출을 보여준다.

천문학자들은 이번 관측 과정에서 다른 두 혜성도 자세히 관찰했지만, 그것들은 모두 상당히 평평하고 깊은 크레이터가 없었으며, 뾰족한 표면은 소행성과 위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와일드 2에서 관찰된 것과는 전혀 달랐다.

스타더스트 우주선의 수석 연구원이자 워싱턴 대학교 천문학과 교수인 도널드 브라운리는 “와일드 2는 지금까지 우리가 아는 한 독특한 천체입니다.”라고 말했다. 그와 동료들은 와일드 2가 먼지와 숯 같은 막으로 이루어진 비교적 특징 없는 혜성일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넓은 메사와 가파른 협곡이 있는 신비로운 곳임을 발견했다.

천문학자들은 와일드 2가 충돌 시 부서지는 잔해 더미가 아니라 절벽과 첨탑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한다. 와일드 2의 구성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와일드 2의 외관은 중력을 거스르는 듯합니다. 브라운리 교수는 “표면에는 중력이 거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만약 그 위에 서 있다면, 궤도로 뛰어들 수 있을 겁니다.”

참고자료: http://www.space.com/scienceastronomy/stardust_results_040617.html

원문위치: https://www.zhengjian.org/node/27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