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자/ 대륙대법제자 도명(道明)
【정견망】
들어가는 말
정법노정이 앞으로 추진됨에 따라 대법 수련 중에 심성을 제고하고 우주 특성 진선인에 동화하자 나는 대법이 부여한 지혜와 능력이 갈수록 강해졌다. 대법은 또 나의 수련 경지 중 부동한 층차의 우주 진상을 나타내주었다. 그중에는 지구 역사의 비밀이 있는데 그것을 써내어 여러분과 나누고자 한다.
바그다드 전지의 수수께끼
1936년 여름 어느 날 이라크의 수도 바그다드 교외 쿠주라부에서 철도를 건설하던 인부가 거대한 석판으로 만들어진 고대 묘지를 발견했다. 석판에는 많은 페르시아 문자들이 새겨져 있었다. 관속에는 대량의 금은보화 외에 구리그릇, 철봉과 도기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기이한 모양의 고대 화학 전지가 있었다. 이 전지가 바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바그다드 전지다.
바그다드 전지는 영원한 수수께끼로 지금까지 세계 고고학계에서 승인받지 못하고 있다. 각종 추론이나 가설은 있지만 그 어느 것도 바그다드 전지의 경위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오늘 풍운의 시기에 나는 바그다드 전지의 비밀의 면사포를 밝히고자 한다.
바그다드 전지는 근원을 거슬러 올라가자면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사전(史前)문명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내 경지에서 나타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지금부터 2만 3,800년 전 서아프리카에 문명이 매우 발달한 야두수 왕국(번역하면 뭇 신들이 모여 사는 나라라는 뜻)이 있었다. 입헌군주제를 실시했고 인구는 800만이며 피부색은 짙은 갈색이었다. 흑인에 대응하는 천국세계의 신을 믿었다. 이곳의 민족은 순박하고 선량했으며 신에 대한 신앙이 경건했다. 신앙 때문에 그들은 인체, 별, 우주에 대한 연구를 매우 중시했고 인체 잠재능력 개발에도 아주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그들은 인체, 자연과 우주의 연계를 중시했으며 그와 대응한 일체 상관된 인지와 이론을 연구하고 실천했다.
나는 내가 잘 아는 동수와 함께 윤회 중에서 야두수 제3왕조 시기에 태어났다. 그때 나는 성직자로 국왕의 물자조달과 재정을 돌보고 있었다. 당시 동수의 이름은 야디였는데 신의 사자라는 뜻이었다. 근기가 좋아 어려서부터 각종 초능력을 구비했으며 왕국의 수행인 중 만에 하나 나올까하는 천재였다. 국가의 핵심인재로 선정되어 어려서부터 경지가 높은 수도사로부터 특수한 훈련을 받았으며 5살 때 수련을 시작했다. 20여 년의 고된 수련을 거쳐 30살이 되었을 때 야디는 이미 수련과 법술의 공능 두 방면에서 상당히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야디처럼 이렇게 특수한 장점을 갖춘 높은 경지의 수도사는 전국적으로 열 명이 안 되었다.
야디의 장기는 시공을 넘나드는 것이다. 그 생에 나는 야디와 매우 가까웠다. 나는 늘 야디에게 시공을 초월하는 것에 관한 건의를 하여 그가 나라에서 부여한 임무를 완성하도록 도왔다. 야디의 사명은 바로 지구의 과거와 미래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당시 과학기술은 매우 발달했다. 야디는 신통법력을 통해 완전히 시공을 뚫을 수 있었지만 당시 과학기술도 시공을 뚫고 지나가는 보조기구인 천사기(穿梭機)를 연구해냈다. 천사기는 직경이 10미터 정도인데 두 사람이 탈 수 있고 전방에 창이 있었다. 기구가 사용하는 에너지는 미시 분자에너지이며 보통 반쯤 숨겨진 상태에 있다. 의념으로 통제해 운행한다. 천사기는 시공을 뚫고 가는 자가 다른 시공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강력한 보조 비행기구였다.
한번은 야디가 시간을 뚫고 서기 3세기 고대 페르시아의 작은 촌락 부근에 도착했다. 부근에서 양을 키우던 사람이 천사기가 내려오는 것을 직접 목격하고는 천신이 내려오는 것이라고 착각했다. 그는 자기가 직접 본 신의 족적에 감동해 흥분하여 천사기에서 교체하고 남은 폐전지를 갖고 갔던 것이다. 전지 자체가 강한 에너지를 갖고 있었고 또 열을 내놓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양치기는 그것이 신의 물건이라고 생각해 자손대대로 전했다. 전지가 18대 손자에게 전해졌을 때 전지는 인근에서 이미 유명해졌다. 많은 귀족과 부자들의 관심을 받았으며 그들은 전지를 갖고 싶어 했다. 양치기의 자손은 전지가 다른 사람에게 탈취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지를 일부 부장품과 함께 고인의 묘지 속에 넣기로 결정했다. 이때 전지는 여러 대를 거치며 원래 전지를 싸고 있던 표면의 고탄소 섬유 껍질은 점차 부식되어 떨어져 나갔고 후세 자손이 도기 껍질을 붙여 놓은 상태였다. 이 역시 현대 고고학자들이 연구해내지 못하는 점이다. 왜냐하면 전지의 내부 구조와 외부 껍질은 결코 같은 시대의 산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대인이 아무리 추측하고 가설을 세워도 알 수 없다. 사실 오늘날 과학의 발전노선은 사람의 사상을 속박하는데 지구의 많은 수수께끼를 밝히려면 고유의 관념에서 뛰쳐나와 사유방식을 바꿔 인식해야 한다.
야디는 사람으로 있는 동안 200여 년을 수행했으며 두 왕조시기를 뛰어넘었다. 그녀는 법술 신통을 운용해 여러 차례 시공을 넘나들며 역사의 과거와 미래를 여행했다. 그 족적이 전 세계 곳곳에 남겨졌으니 진정한 시공 여행자라 할 수 있다. 그녀는 비록 어느 시대든 진입할 수 있었지만 어느 시대든 물질요소를 가져 가는 것은 허용되지 않았다. 그렇게 하면 자신의 물질 시공에 교란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본인도 자기 시대로 돌아올 수 없다. 하지만 천사기의 정보 투영기구를 통해 과거와 미래의 영상을 보존할 수는 있었다. 이런 방식으로 부동한 시대의 문명을 참고로 이해할 수 있었다. 그로부터 자기 사회 각종 방면의 부족을 보충할 수 있었다. 이 시기에 높은 경지의 많은 수도사들은 모두 우주의 주(主)가 미래에 인간 세상에 강림할 것을 예측했고 우주 대법을 널리 전해 중생을 구할 것을 알았다. 그래서 야디 등 시공을 넘나드는 수도사들은 이번 차례 문명의 2천년 내에 나타날 수 없었다. 그들은 신이 계통적으로 정법(正法)을 위해 준비하고 있으며 그 어떤 사람의 간섭이나 파괴도 허용되지 않음을 알고 있었다.
야두수 왕조 사회의 생활은 각 방면에 모두 인체 과학의 영향을 받았다. 농축산방면에서는 초능력으로 가장 좋은 동식물의 종자를 골라 심고 사육했으므로 농작물은 열매가 매우 크고 영양이 풍부했다. 공업 방면에서는 정부에서 투시와 감지 공능을 가진 초능력자를 파견해 광물자원을 탐사했고 광물 에너지 장에 대해 감응을 관찰하여 정확하게 각종 희귀금속을 찾아 공업 발전에 사용했다. 하지만 당시 생산한 각종 용도의 기기들은 모두 사람의 초능력을 강화하고 보조하는데 사용되었다.
야두수 시대의 각 왕조는 인문 자연을 존중하고 경천애지(敬天愛地)의 사상을 계승했으며 정원같은 왕국을 만드는데 힘썼다. 끝없는 삼림, 광활한 초원은 도처에 지저귀는 새와 꽃향기로 가득 차 있었다. 사람들은 이런 환경에서 생활했으며 심태가 안정되고 상화로웠다. 사람과 대자연은 고도로 융합되어 조화롭게 공존했다.
야두수 왕조의 전성시기에는 비록 전쟁을 치르긴 했지만 사방이 태평했다. 하지만 군사력은 오히려 내가 본 많은 역사시기에서 가장 강했다. 그때 우연히 사교(邪敎)의 이교도가 일으킨 전쟁이 있었다. 야두수 국왕이 전쟁을 해결하는 방식은 아주 특수했다. 그들은 왕국에서 신통법력이 가장 뛰어난 초능력자를 불러 직접 신통을 운용했다. 전쟁을 일으킨 악인들을 인간 세상의 육체에서 소멸했다. 전쟁 계획 초기에 전쟁을 일으키는 어두운 영혼과 악의 수령을 제거해 전쟁이 싹트는 중에 소멸시켜 버리는 것이다. 만약 적군이 침입하게 되면 기상(氣象) 무기를 직접 운용해 적군을 소멸했다. 예를 들면 뜨거운 여름날 법술이 강대한 초능력자를 여러 명 보내 특정 지역에 적군을 포위한 다음 신통으로 기온을 영하 20도 이하로 떨어지게 해 여름옷을 입은 군대가 전부 얼어 죽게 만들어 전멸시킨다.
야두수 왕국은 총 7개 왕조를 거치며 수백 년을 거쳤다. 마지막 제 7왕조가 되자 다른 많은 문명시기와 유사하게 전반 사회도덕이 크게 떨어지고 인심이 타락하고 어두워졌다. 종교적으로 여러 차례 개량이 나타나 더 이상 바른 신을 신봉하지 않고 마신(魔神)을 신봉하기 시작했다. 한 단락 시기를 거친 후 하늘의 뜻에 따라 큰 돌림병이 유행하더니 왕조는 최종적으로 훼멸되었다.
역사는 수레바퀴 같아서 순식간에 이미 천년, 만년의 세월이 흘렀다. 얼마나 많은 상전백해가 있었으며 얼마나 많은 인물이 눈 깜짝할 사이에 연기처럼 지나가고 기나긴 역사의 강 속에 묻혀버렸는가.
원문위치: http://www.zhengjian.org/node/238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