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简体 | 正體 | English | Vietnamese

《역상을 읽다(讀易象)》에서 천기를 보다

섬섬(纖纖)

【정견망】

많은 사람이 미래를 예견하고 과거를 보았다. 역사적으로도 일찍이 많은 일화들이 남아 있다. 북송의 시인이자 저명한 유학자 주돈이(周敦頤)의 《역상을 읽다》란 이 시 역시 천기를 깊이 알았다.

책방에 우두커니 앉으니 온갖 기연 쉬고
햇살은 따사하고 바람은 부드러워 풀색이 그윽하다
누가 2천 년을 먼 일이라 말하나
지금 바로 눈앞에 있는데

書房兀坐萬機休
日暖風和草色幽
誰道二千年遠事
而今只在眼前頭

“책방에 우두커니 앉으니 온갖 기연 쉬고
햇살은 따사하고 바람은 부드러워 풀색이 그윽하다”

꽃이 활짝 피고 초목이 풀색이 그윽한 어느 봄날 한낮, 시인은 가부좌하고 입정(入定)에 들어가 현실의 교란을 버리자 많은 불가사의한 일을 보았다.

우리가 본 많은 고인(高人), 은사, 고승들이 모두 일종 입정(入靜)하거나 입정(入定)한 상태에서 개공개오(開功開悟)해 천기(天機)를 보았다. 석가모니 역시 보리수 아래에서 입정(入定)해 개오한 것이다. 시인의 상태 역시 마찬가지다.

“누가 2천 년을 먼 일이라 말하나
지금 바로 눈앞에 있는데”

시인은 2천 년 전의 일이 마치 눈앞에 있는 일처럼 아주 진실하다고 말한다. 시인이 과연 무엇을 보았는지 아무도 모른다. 시인이 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마 자신이 역사 속에서 맡았던 어떤 역할이었을지 모른다.

시인은 《주원공집(周元公集)》, 《애련설(愛蓮說)》, 《태극도설(太極圖說)》, 《통서(通書)》 등을 썼다. 이 작품은 사실 자신이 쓴 책과 학식의 내원을 우리에게 알려주는 것인데 자신이 입정(入定) 상태에서 본 것이다. 무슨 지식의 축적이나 승화가 아니다.

이 시는 신비롭게 보이지만, 이치는 아주 간단하다. 입정 상태에서는 인간 세상의 경험, 학문, 관념 등 사람 마음을 내려놓는데, 입정(入定)해서 사람 마음이 없을 때 사람을 초월한 것들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대법 사부님께서는 《전법륜》 제7강에서 우리에게 알려주셨다.

“석가모니가 전한 것은 ‘계(戒)ㆍ정(定)ㆍ혜(慧)’라는 것이다. 계(戒)란 속인 중의 모든 욕망을 끊어버리는 것이고, 정(定)이란 수련하는 사람이 완전히 선정(禪定) 중이나 가부좌 중에서 수련하는 것을 가리키며 완전히 입정(入定)해야 한다는 것이다.”

고대 수련 법문에서 입정은 천기를 깨닫기 위한 전제였다. 사람 마음을 버린 후 진상(真相)을 볼 수 있다.

우리의 심태가 순정하고 악념(惡念)이 없을 때면, 우리는 또 많은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류를 초월한 지식 등이다.

사실, 이런 것들이 진정한 목적은 아니다. 우리가 어디에서 왔고 어디로 가는지, 그리고 우리가 이곳에 온 목적이 무엇인지 아는 것이야말로 가장 중요하다.

사실, 대법 사부님께서는 경문 《왜 인류가 존재하게 되었는가》에서 우리가 세상에 온 목적은 법을 얻어 자신의 천체와 중생을 구도하기 위한 거라고 알려주셨다.

마음을 고요히 하고 사심(私心)이나 잡념(雜念)의 교란 없이 자신의 일생을 한번 생각해보자. 어쩌면 당신이 내원한 곳과 당신이 이곳에 온 목적을 똑똑히 알 수 있을지 모른다.

 

원문위치: https://www.zhengjian.org/node/297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