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심해(莫心海)
【정견뉴수】
3년 전 웹 망원경이 발사된 이후 천문학자들은 웹 망원경의 도움으로 보다 먼 은하를 관측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관측은 우주에 대한 천문학자들의 과거 지식을 계속해서 뒤집고 있다.
스페이스닷컴은 2025년 4월 16일 천문학자들이 웹 망원경(JWST)을 사용해 가장 멀고 가장 초기의 나선 은하를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이 은하는 지구에서 128억 광년 떨어져 있다. “빅뱅” 이론에 따르면 이 은하는 빅뱅 이후 겨우 10억 년 만에 존재한 셈인데 이는 기존의 은하 진화 이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이전까지 천문학자들은 우리 은하와 같은 나선 은하는 나선 팔, 거대한 별 형성 원반, 밀도가 높은 별들로 이루어진 중심 핵과 같은 독특한 특징들이 생기려면 수십억 년이 걸린다고 생각해 왔다. 그러나 이번에 발견된 은하는 천문학자들의 예상과 달리 혼란스럽지 않고 우리 은하만큼 질서정연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중국어 ‘촉룡(燭龍)’에 해당하는 주룽(zhúlóng)이란 불리는 이 은하는 우리 은하와 유사한 점이 있다. 발로 항성 원반의 크기 및 이 영역의 질량이다. 주룽 은하의 항성 원반은 직경이 약 6만 광년이고 질량은 태양의 1000억 배다. 한편 우리 은하의 항성 원반은 직경이 10만 광년으로 약간 더 큰 반면, 질량은 태양 질량의 약 460억 배로 더 작다.
자료출처:
https://www.space.com/the-universe/james-webb-space-telescope-discovers-most-distant-and-earliest-milky-way-twin-ever-seen-meet-dragon-galaxy-zhulong-image
원문위치: https://www.zhengjian.org/node/296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