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简体 | 正體 | English | Vietnamese

“적(的)”과 “지(地)”의 용법 변천을 말한다.

글 / 유신우(刘新宇)

【정견망】사존의 신경문《수개(修改)》가 발표된 후 처음 보았을 때 나는 마음속으로 잘 적응하지 못했는데 이는 필경 현대 중국어 중에서 “적(的)”과 “지(地)”의 용법이 이미 뇌리에 깊이 박혀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사존의 말씀에 따라 수개하는 과정에서 정말로 법의 위대함과 현묘함을 느낄 수 있었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적(的)”은 명사앞에 놓이고 “지(地)”는 동사앞에 놓인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이런 식으로 “적”과 “지”를 사용하는 것은 현대인들이 규정한 것이다. 현대 중국어에서 “적(的), 지(地)”를 조사로 사용하는 것은 신문화(新文化)운동시기에 비로소 대량적으로 출현했는데 그 의미는 원래 갖고 있던 기본의미와는 완전히 다르다. 고대 중국어에서 “적(的)”의 용법은 과녁의 의미로서 예를 들면 한자성어 중에 “과녁을 보고 활을 쏜다[有的放矢]”는 데서 알 수 있다. 또한 “지(地)”의 원래 의미는 토지를 가리킨다. 고문(古文) 중에서는 주로 실사(實詞)로 사용되었으며 조사의 용법이 나타난 경우는 전혀 없었다. 명청(明清) 시기에 이르러 일상용어에서 문언(文言)문이 백화(白化)문으로 변하기 시작했다. “적(的)”을 조사로 쓰기 시작했으며 점차적으로 문언문 중의 “지(之)”를 대체했는데 내가 생생히 기억하는 것으로 《삼국지연의》중에 장비가 여포에게 한 “내가 네 말을 빼앗은 것만으로도 화를 내면서 네가 우리 형님의 서주땅을 빼앗고도 아무 말도 없느냐!(我夺你马便恼,你夺我哥哥的徐州便不说了)!”라는 구절이 생각난다.
(역주 : 이 문장에서 적(的)이 과녁이라는 명사가 아니라 “~의”라는 뜻을 가진 조사로 사용되었다. 즉, 《삼국지》가 나올 무렵 이미 적(的)을 조사로 쓰기 시작했다는 의미로 예를 든 것이다.)

중화민국시기에 이르러 호적(胡適) 등이 백화문학을 창도하고 문언문을 폐기할 것을 주장하면서 서면(書面)용어가 단번에 전면적으로 백화문으로 변했으나 매우 많은 글자와 단어가 모두 규정되지는 않았다. 노신(鲁迅)과 다른 사람들의 일부 문장에서 볼 수 있으나 그 당시 사람들은 종종 “적(的)”을 “저(底)”자로 썼는데 당시에 “저(底)”자는 명사앞에 놓이는 것은 물론이고 동사앞에도 놓일 수 있었다.

그렇다면 그들은 왜 이렇듯 상세하게 명사앞과 동사앞으로 구분해서 쓰게 되었는가? 관건은 바로 서양문화의 영향때문이다. 서양어법 중에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를 아주 상세하게 구분하고 있다. “지(地)”를 동사앞에 놓는 것은 사실 한자의 오래된 내포를 사실상 왜곡한 것이다. 신문화 운동을 주장한 사람들이 중국어를 서양화시키는 과정에서 이런 규정이 나타난 것이다. 심지어 그들은 한자마저도 철저히 폐지해버리고 병음만 사용하고자 생각했다.

이런 신문화운동의 주장자들은 비록 사람들이 그들을 국학(國學)의 대사(大師)라고 칭하지만 그들이 진정으로 중국어를 사랑한 것이 아니며 단지 서양언어의 어법을 이용하여 중국어를 규범화시킨 것에 불과하다. 그들도 진정으로 고문화의 내포를 이해하지 못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어떤 목표에 도달하려고 할때 그들은 “목적(目的)”이라고 써야 한다고 규정했는데, 어떤 사람은 “적(的)”은 고대 중국어에서 과녁을 뜻하므로 목적이라고 쓰는 것이 마치 합당한 것처럼 이야기한다. 사실은 그렇지 않은데, “지(地)”의 원뜻은 토지이며 여기에서 연역되어 경지(境地)라는 의미가 있다. 그러므로 목표에 도달하려고 하며 어떤 경지에 도달하기위해 사람들이 한 걸음 한 걸음 착실하게 실행해나갈 때야만 비로소 도달할 수 있는데 “천리길도 한걸음부터”라는 말과 같다. 그러므로 사람이 무언가를 해야 하며 어떤 목표에 도달하려고 할 때 특히 수련을 통해 어떤 경지나 경계 내지는 층차에 도달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드시 착실하고 착실하게 한 걸음씩 밟아나가야만 비로소 가능하다. 그러므로 목적(目的)은 사실상 마땅히 목지(目地)로 써야만 고대문화의 내포와 부합한다.

나는 개인적으로 신경문 《수개(修改)》의 발표는,고문화의 내포를 회복하고 변이된 문화를 바로 잡는 것이며 우리들이 미래인들의 문화를 위한 하나의 정확한 기초를 다지는 것이라고 여긴다. 개인의 이해이므로 단편적이라는 한계를 벗어날 수 없으니 삼가 지적하여 바로 잡아주시기 바랍니다.

문장발표 : 2004년 4월 11일
문장분류 : 정법수련>삼언양어
원문위치 : http://www.zhengjian.org/zj/articles/2004/4/11/2665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