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简体 | 正體 | English | Vietnamese

관념을 제거하고 더욱 정진하자

글/ 중국 대법제자

【정견망】

최근 몇 년 사이 자신의 수련상태가 예전만 못해졌다. 특히 사람을 구하는 일에서 더욱 그랬다. 전에는 주동적이고 적극적으로 각종 방식을 이용해 사람을 구했고 또 직접 만나서 진상을 알리는데도 아무런 장애가 없었다. 그러나 지금은 피동적이 되었고 내심에서 자발적으로 우러나와 하지 않는다.

사부님께서 세 가지 일을 해서 사람을 많이 구하라고 하셨기에 나는 억지로 반드시 나가서 했다. 표면적으로는 사부님의 말씀에 따라 사람을 구했지만 사람을 구하는 방식에서는 단지 나가서 진상자료만 배포했고 직접 만나 진상을 알리는 일은 거의 하지 않았다. 나는 내심에 중생을 구도하려는 그리 강렬한 바람이 없는 것을 발견했다.

심지어 수시로 더러운 사심(私心)을 끼고 있었고 사람을 구하지 못할까 두려워하고 사부님의 말씀을 따르지 않으면 구세력이 틈을 타서 박해를 받을까 두려워했다. 나는 줄곧 자신의 이런 상태를 고뇌했는데 단지 두려운 마음이 방해하거나 또는 자신이 자비심을 닦아내지 못했기 때문이라고만 여겼다.

동수와 교류한 후 동수는 나에게 두려운 마음을 제거하라는 건의를 많이 했다. 나는 비록 동수의 말이 틀리지 않음을 알았고 또 발정념도 많이 했지만 여전히 근본적인 문제를 찾아내지 못한 느낌이 들었다.

사부님께서는 우리에게 알려주셨다.

“사람마다 자신의 집착을 스스로 깨닫고, 걸어 지나오는 그것이 진정한 제고다.”【1】

나는 최근에 법학습과 동수의 교류문장을 보다가 맹렬히 의식하게 되었다. 자신이 정진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은 두려운 마음 외에도 사실 또 각양각색의 후천적인 관념이 있었지만 나는 전에 똑똑히 의식하지 못하고 모두 수련의 길 위에서 장애이자 방해물이라고만 여겼다.

마치 사부님께서 말씀하신 것과 같았다.

“사람이 가장 내려놓기 어려운 것은 관념이다. 어떤 자는 가짜 이치(假理)를 위해 생명을 바칠지언정 개변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 관념 자체는 오히려 후천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만약 이 후천적인 관념이 아주 강하게 변하면 그는 곧 사람의 진정한 사상과 행위를 지배하는데, 이때에 사람은 아직도 자신의 사상이라고 생각한다. 현대인은 거의 사람마다 이러하다.”【2】

내가 이 점을 의식했을 때 앞으로는 각종 관념을 제거하는데 공력을 들여 제때에 자신을 바로잡아야 한다.

나는 또 각종 집착과 관념의 방해 외에도 또 자신이 법에서 제때 제고하지 못했고, 진정으로 법을 잘 배우지 못했으며, 이성적으로 진정하게 법을 인식하지 못했고, 법에 대한 부동한 층차의 요구를 인식하지 못했으며 진정으로 법을 이해하지 못했음을 알게 되었다.

사부님께서는 말씀하셨다.

“만약 당신들이 사람마다 모두 내심에서 법을 인식할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비로소 위력이 끝없는 법의 체현 ― 인간 세상에서 강대한 불법(佛法)의 재현(再現)이다!”【3】

사부님의 이 단락 법을 학습한 후 나는 중생구도의 진정한 함의에 대해 보다 깊은 인식을 갖게 되었다.

사부님께서는 말씀하셨다.

“나는 어떤 때 생각한다. 한 생명으로 말하면, 보건대 아주 보잘 것 없으나 오히려 모두 자신의 생명의 이야기가 있다. 어떤 비장함이 있고, 곡절이 있으며, 즐거움이 있고, 고통이 있으며, 자비와 선량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생명의 부동한 특징이 있다. 나는 그것들을 아주 소중히 여긴다.”【4】

나는 계속해서 법학습을 하다가 눈물이 흘러내렸다. 사부님께서는 매 생명을 소중히 여기시며 홍대(洪大)한 자비를 표현하셨다. 우리 대법제자는 조사정법(助師正法)하는 법도(法徒)로서 마땅히 매 생명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많은 사람을 구해야 하며 최선을 다해 그들을 남겨놓고 대법제자의 책임을 다해야만 하는데 이렇게 하는 것만이 비로소 진정한 자비다.

주:
【1】 리훙쯔(李洪志) 사부님 경문: 《다시 방할하노라》
【2】 리훙쯔 사부님 경문:《정진요지》<누구를 위하여 존재하는가>
【3】 리훙쯔 사부님 경문:《정진요지》<경고하는 말>
【4】 리훙쯔 사부님 저작 : 《각 지역설법 11》<20년 설법>

 

원문위치: https://www.zhengjian.org/node/266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