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简体 | 正體 | English | Vietnamese

법 공부와 수련에 대한 작은 깨달음

일원(一員)

【정견망】

법 공부는 절대 형식에 흘러서는 안 되며 법리의 내함(內涵)을 보아야 한다. 이렇게 하려면 반드시 마음을 조용히 하고 법을 공부해야만 한다. 하지만 단지 여기까지만 해도 안 되며 마음 닦음(修心)도 반드시 따라서 올라가야 한다. 마음 닦음이 따라서 올라가고 따라서 승화하지 못하면 여전히 법을 배우지 못한 것이다. 그러므로 법을 공부해야 한다면 마음도 닦아야 하며 마음을 닦아 법 공부 속에 녹아 들어가야 한다.

하지만 수련인(修煉人)으로서 안으로 마음을 닦음은 관건이다. 내함을 보았다면 법에 따라 해야만 한다. 해내야만 제고이고 심성이 제고되어야 반대로 법을 배울 수 있다. 법을 배우고 또 법에 따라 해낼 수 있다면 변화가 클 것이며 제고가 빠를 것이다. 공부 속에 닦음이 있고 닦는 가운데 투철히 배워 혼연일체(渾然一體)를 이뤄야 한다.

자신이 시종일관 일종의 양성(良性)순환에 처해 있다면 끊임없는 정진 속에 있는 것이다. 동시에 또 사람 구하는 일을 잘해야만 장기간 한 층차에 빠져 나오지 못하는 일이 없을 것이다.

사부님께서 우리에게 전하신 이 한 세트의 공법은 속인환경 속에서 수련하기 때문에 최대한도록 속인상태에 부합해 수련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우리는 속인 중에서 비정상적으로 표현되면 안 된다. 속인상태에 부합하는 관건은 바로 수련을 위해 부합하는 것이다. 속인이 보아내지 못하는 이유는 속인은 사람의 기점에 서 있고 미혹 속에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부합하는 것으로 혼동하면 안 된다. 마음이 다르고 행동과 모든 일체가 다를 뿐만 아니라 또한 전혀 다른 것은 단지 마음이 아니라 법의 함의가 부여되어야 한다. 

속인이 일하고 학습하는 것은 위사(爲私)하고 위아(爲我)한 것이지만 우리가 일하는 것은 완전히 속인 중에서 수련하기 위한 것이다. 속인이 밥을 먹는 것은 집착이지만 우리가 밥을 먹는 것은 수련이고 법에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보자면 우리가 속인 중에서 수련하는 것을 겉으로 봐서는 아무런 구별도 없지만 실질은 속인의 일체와는 완전히 다른 것이다. 우리는 정념(正念)에 의지해 속인 중에서 유지하는 것으로 정념으로 속인 이 층의 법을 원용(圓容)하는 것이다.

법 공부는 종이에 적힌 글자의 이치를 명백히 알아야 하며 또한 배후의 내함도 알아야 한다.(둘 중 어느 하나도 없어선 안 된다) 이렇게 하려면 우리는 반드시 순정(純淨)한 심태로 법을 공부해야 하는데 왜냐하면 법은 순정하기 때문이다. 오직 순정한 마음이라야 법이 펼쳐질 수 있고 진정으로 도(道)를 깨달을 수 있으며 동시에 수련이 따라 올라갈 수 있다. 법 공부는 사실 어떤 형식을 취하는 가가 중요하지 않으며 오직 법을 배울 수만 있다면 되는 것으로 지나치게 어떤 방식을 강조하지 말아야 한다. 

온갖 난잡하고 어지러운 현상이 난무하는 오늘날 법을 잘 배우는 것이야말로 가장 관건적이고 가장 관건적이다. 이치를 완전히 보고 더욱 투철히 깨달아야만 십악독세(十惡毒世)한 오늘날을 여유 있게 마주할 수 있다. 특히 현재 최소한의 한계마저 없는 사당(邪黨)의 잔혹한 박해 하에서 도처에 일체 부면적인 요소로 가득하고 도처에 유혹이 가득한 가운데 더욱이 배후 사악의 요소가 풍파를 일으키는 가운데 세인은 이미 더 이상 나빠질 수 없을 지경까지 나빠졌다. 이런 상황에서 이끌리지 않기란 아주 어렵다. 

그러므로 우리는 반드시 스스로 거대한 정념을 유지해서 이 일체를 마주해야 한다. 동시에 우리는 또 이런 엄혹한 환경 속에서, 미혹 속에서, 사람 속에서 완전히 걸어 나와야 할 뿐만 아니라 또한 사람을 구해야 한다. 생각해보면 얼마나 어려운가! 현재 다른 선택은 없고 우리 앞에는 오직 대법(大法)이란 이 한 길만 있을 뿐이다.

사부님께서는 《다시 방할하노라》에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사부가 한마디 더 하는데, 당신들의 매 순간은 모두 수련의 길 위에 있으며, 매 순간 모두 내가 당신들을 관리하고 있다.”

사부님께서 말씀하신 매 순간이란 어떤 의미인가? 바로 언제나 늘 법에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단지 모순이 나타났을 때나 또는 문제가 발생해서 관을 넘을 때만이 아니다. 평상시 매 일분 매 일초마저 늘 관(關)을 넘는 것이 아닌가! 모두 마찬가지로 닦음의 문제가 존재하는데, 그렇지 않은가? 마음을 법에 놓으면 수련은 도처에 없는 곳이 없다. 

우리는 오로지 꾸준히 노력해서 법을 공부하고 착실히 수련해야만 한다! 그래야지만 사람 속에서 완전히 걸어 나올 수 있는데 다시 말해 신(神)을 향해 걸어갈 수 있다.

 

원문위치: https://www.zhengjian.org/node/28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