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简体 | 正體 | English | Vietnamese

【중국역사정술】 상(商) 15: 오대에 걸쳐 군주를 보필한 이윤

글/ 신전문화 중국역사연구모임

【정견망】

성탕은 무력으로 하나라를 토벌한 후 아름다운 왕자(王者)의 풍모를 보여주었다.

맹자는 “탕은 이윤에게 먼저 배운 후 나중에 신하로 삼았기 때문에 큰 수고 없이 왕이 될 수 있었다.” 또 “이윤이 재상이 되어 탕을 도왔기에 천하의 왕 노릇을 할 수 있었다.”라고 했다.

사실 맹자의 이 말은 지나친 게 아니다. 심지어 상족(商族) 사람들이 제사에서 선왕을 노래할 때도 이윤을 찬미했다. 《시경・상송・장발》에서 그들은 이렇게 노래했다.

“옛날 은나라 중엽에
두렵고 위태로운 일이 있거늘
신실한 천자이신 탕 임금에게
훌륭한 인재를 내려주셨네
그가 바로 아형(阿衡 이윤)이니
탕 임금을 보좌하셨네”

걸을 토벌하기 전 이윤과 성탕은 오랜 준비를 했다.

이윤은 우선 성탕에게 제후들이 예의상 바치는 공물(貢物) 진상을 중단시켜 하걸(夏桀)의 실력을 시험해보게 했다. 성탕이 이 계책에 따르자 걸왕이 몹시 화를 내며 ‘구이의 군대(九夷之師)’를 조직해 상나라를 토벌하게 했다. 이윤은 걸왕에게 아직 병력을 동원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니 하나라를 정벌할 시기가 아직 무르익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윤은 성탕에게 공물 진상을 회복하게 하자 성탕이 또 그의 말대로 따랐다.

이듬해 이윤이 또 성탕에게 작년처럼 공물 진상을 중단하게 하자 성탕이 그의 말을 따랐다. 이번에 그들은 하걸이 이미 인심을 잃어 ‘구이의 군대’를 조직하지 못하는 것을 발견했다.

성탕이 하걸을 토벌한 명조(鳴條) 전투는 사실 거의 아무런 저항 없이 끝났고 성탕의 대군이 가는 곳마다 휩쓸었으며 하조(夏朝)는 아주 빨리 과거로 되었다.

천기(天機)가 크게 드러났을 때 사람들은 가장 특이한 방식으로 인간 세상에 온 이윤이 특수한 사명을 지녔음을 알았다. 또 충직하고 후덕한 성탕은 이윤의 도움을 받아 큰 공업(功業)을 세울 수 있었다.

성탕은 《탕고(湯誥)》에서 “으뜸가는 성인을 청해 그와 함께 힘을 합해 너희들과 함께 공동으로 하늘의 명을 청했노라(聿求元聖,與之戮力,以與爾有眾請命)”라고 했다. 즉 하늘에 으뜸가는 성인(元聖)인 이윤을 요청해 그와 함께 너희들의 고통을 해결하고자 했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윤은 오히려 이렇게 보지 않았다. 그는 《伊訓》에서 이렇게 말했다.

“공격은 명조에서 시작되었지만 우리의 계획은 박(亳)에서 시작되었습니다.”라고 했다.

상조가 건립된 후 성탕은 이지(伊挚)를 윤(尹)에 봉했는데 여기서 윤(尹)은 정(正 바로 잡는다)이란 뜻으로 이로써 천하를 바로잡는다는 뜻이다.

상조가 건립된 후 제정된 법률은 모두 이윤의 손에서 나왔다.

그는 신하들에게 이런 규정을 명확히 했다.

“감히 집에서 음란한 춤을 하고 방에서 노래에 탐닉하거나” “재화와 여색에 빠지거나 놀이와 사냥에 몰두하고” “성인의 말씀을 무시하고 진실하고 정직한 자를 거스르며 나이 많고 덕이 있는 이를 멀리하며 간악한 아이들과 한패가 되는 것”을 모두 불허했다.

왜냐하면 이런 것들은 모두 불량한 풍속이라 이에 오염되지 않아야 했기 때문이다. 그는 “경사(卿士) 일족이 만약 이중 어느 하나라도 가지면 반드시 집이 망하고, 일국의 군주가 하나라도 오염된다면 반드시 나라가 망할 것이니 신하가 이를 바로잡지 않으면 묵형(墨刑)에 처할 것이다.”라고 했다.

여기서 묵형이란 죄를 지은 사람의 얼굴에 글자를 새기거나 그림을 그린 후 묵으로 표시한 것을 말하는데 고대 다섯 가지 형별의 하나다. 신체에 큰 영향은 없지만 명성에는 지극히 큰 영향을 끼쳤다.

후세에 주공(周公)은 “내가 들으니 옛날 성탕이 천명(天命)을 받을 때 이윤이 있어 하늘의 뜻과 통했다.”고 말했다. 여기서 하늘의 뜻에 통했다(格於皇天)는 것은 황천과 소통해 하늘의 뜻을 알았다는 의미다.

이윤은 자신에게 선지(先知)능력이 있음을 부인하지 않았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하나라 임금이 덕을 실천하지 못해 신을 무시하고 백성을 학대하니 하늘이 보호하지 않으시고 만방을 살펴 천명(天命) 받을 자에게 길을 열어 인도하시니 한결같은 덕을 가진 자를 돌보고 구하시어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제주(祭酒)가 되게 하셨다 오직 나 이윤과 탕 임금만이 한결같은 덕을 지녀 하늘의 뜻에 순종했기에 하늘의 밝은 명령을 받아 구주(九州)의 백성들을 가졌고 드디어 하조(夏朝)의 달력을 바꾸게 되었습니다.”라고 했다.

여기서 달력을 바꿨다는 말은 조대가 새로 교체된 것을 뜻한다.

한편 성탕이 세상을 떠난 후 뒤를 이은 몇몇 상왕(商王)들은 모두 일찍 죽었고 이윤이 줄곧 정사를 보필했다. 제4대 상왕 태갑(太甲)이 이윤의 충고를 무시하고 정사에 성의를 보이지 않고 이윤은 태갑을 성탕의 묘지로 보내 반성하게 한 후 몇 년이 지난 후 다시 받아들였다. 이윤이 세상을 떠난 것은 태갑의 아들 옥정(沃丁)이 재위에 있을 때였다. 이윤은 이처럼 성탕부터 시작해 5대에 걸쳐 상왕을 모시며 ‘스승(師)’이자 ‘보호자(保)’로 있었으니 그야말로 ‘사보(師保)’였다.

소동파의 말로 표현하자면 이윤은 “만능의 재주를 지니고 천하를 다스렸다.” 즉 이윤이 어진 신하이자 뛰어난 요리사인 동시에 훌륭한 의사로 한 몸에 여러 가지 역할을 겸비했다는 뜻이다.

요리사의 스승

이윤의 실전 요리 실력이 역사 기록에 나오지 않는 게 유감스럽긴 하지만 그의 요리이론은 아주 유명하다. 그의 뛰어난 요리이론은 한번쯤 들어볼 가치가 있다.

성탕이 이윤을 재상으로 삼은 다음날 이윤은 성탕과 함께 음식에 대한 대화를 나눴다. 그는 요리의 도(道)에서 시작해 나라를 다스리는 방략으로 이끌었는데 당시 그가 했던 미식(美食)에 대한 대화는 사관(史官)의 기록을 거쳐 수천 년간 요리의 교과서이자 업계 표준이 되었다.

이윤은 먼저 원재료에서부터 시작했다.

“천하에 무릇 세 무리의 동물들이 있는데 물에 사는 동물에게서는 비린내가 나고, 다른 짐승들을 잡아먹는 동물에게서는 누린내가 나며, 풀을 먹고 사는 동물에게서는 노린내가 납니다. 냄새가 심할수록 맛있는 것은 모두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또 화후(火候 불조절)의 중요성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다섯 가지 맛과 세 가지 재료는 아홉 번 끓고 아홉 번 변화하는 단계가 있는데 불로 조절합니다. 때로는 불길을 세게 올리고 때로는 불길을 낮춰서 반드시 냄새를 억제해 맛의 적절한 정도를 잃지 않게 해야 합니다.”

여기서 다섯 가지 맛이란 시고 달고 쓰고 맵고 짠 맛을 말하고 3가지 재료란 물, 불, 나무를 가리킨다.

여기까지 읽고 나면 요리사의 직책을 맡은 사람이라면 반드시 한 가지 결론을 얻게 되는데 그것은 바로 이윤이 요리의 정신을 깊이 체득한 사람임에 틀림없다는 것이다. 요리에 대한 연구나 실전 경험이 없는 사람이라면 절대 이렇게 치밀하게 언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두 군신(君臣)간의 대화는 《이윤서(伊尹書)》에 수록되어 있는데 중국 최초의 요리이론서다. 지금에 와서 보더라도 내용이 아주 정밀하고 다섯 가지 맛의 조화와 미요함 및 비결을 일일이 언급하고 있다. 요리 세계에 대해 잘 아는 사람만이 써낼 수 있는 뛰어난 작품이다.

가령 그는 “오래 묵혀도 썩지 않고, 익히더라도 설거나 너무 익지 않으며, 달아도 너무 느끼하지 않고, 시더라도 너무 시지 않으며, 짜더라도 너무 짜지 않고, 맵더라도 너무 맵지 않고, 담백해도 너무 싱겁지 않고, 기름져도 느글거리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이렇게 맛있는 요리라면 입에서 군침이 흘러 내지지 않게 조심해야 할 것이다.

이윤이 3천 년 전에 정한 요리의 표준은 지금까지도 중국 요리사들이 간절히 추구하는 최고의 경계(境界)다.

그럼 좋은 재료는 어디에서 나는가? 이윤의 말을 한번 보자.

가장 맛있는 물고기는 동정호의 붕어, 동해 송사리가 있습니다. 또 예수(醴水)의 붉은 자라는 다리가 여섯인데 입으로 청색 구슬을 토해낼 수 있습니다. 또 관수(萑水)에 날치가 있는데 모양은 잉어 같고 날개가 달려서 밤이면 늘 서해에서 동해로 날아가서 놀고 옵니다.

가장 맛있는 채소는 곤륜산의 마름, 불사수(不死樹)의 꽃과 선수(仙樹 신선 나무)의 붉은 나무와 검은 나무의 잎, 여무산(餘瞀山) 절벽위의 나물, 화양산의 향나물, 운몽호의 미나리, 태호의 순무, 깊은 연못 속에서 자라는 사영(士英)이란 풀이 있습니다.

좋은 양념으로는 사천 양박의 생강, 계양 소요산(招搖山)의 계피, 월낙국(越駱國)의 버섯과 철갑상어 및 다랑어 식해와 대하(大夏)의 덩이 소금, 재게산(宰揭山)의 옥색 감로, 장택(長澤)의 물고기 알 등입니다.

가장 좋은 물은 삼위산(三危山)의 이슬, 곤륜산의 우물, 저강(沮江) 강변의 흐르는 물, 백산의 물, 고천산(高泉山) 위로 솟아나는 물, 기주(冀州) 일대의 물이 있습니다.

가장 좋은 과일은 사당(沙棠) 열매, 상산(常山) 북쪽 투연(投淵) 못가의 여러 과일, 기산(箕山) 동쪽의 감귤, 강포(江浦)의 귤, 운몽(雲夢)의 유자, 한수(漢水)의 석이가 있습니다.

……

노자는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굽는 것과 같다”고 했는데 아마도 성탕과 이윤간의 이 대화에서 유래한 것일지 모르겠다. 어쨌든 이윤이 성탕을 보좌해 나라를 다스린 것은 진실로 작은 생선을 굽는 것처럼 자유자재했다. 작은 생선을 굽자면 어려운 점도 있고 쉬운 점도 있는데 어려운 것은 도(道)에 부합하는 것으로 도에 부합하지 않으면 익힌 생선이 부서지지만 도에 부합하면 생선이 터지거나 부서지지 않는다.

이윤의 눈으로 인간세상을 본다면 아마 하나의 거대한 주방처럼 보였을지 모른다.

참고문헌:
1. 《설원》
2. 《상서정의》
3. 《여씨춘추》

 

원문위치: https://www.zhengjian.org/node/238397